2015년 AFC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AFC 아시안컵은 호주에서 개최된 제16회 AFC 아시안컵으로, 2015년 1월 9일부터 31일까지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캔버라, 뉴캐슬 5개 도시에서 열렸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이 준우승, 아랍에미리트가 3위를 차지했다. 16개 팀이 참가했으며, 조별 리그에서는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중국과 우즈베키스탄, 이란과 아랍에미리트, 일본과 이라크가 8강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오스트레일리아 - 오크라 작전
오크라 작전은 오스트레일리아가 2014년부터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ISIL 격퇴를 위해 수행한 군사 작전으로, 공중 투하, 공습, 이라크군 훈련 지원 등을 포함하며 다양한 부대가 참여하여 시리아 내 공습 중단 및 재개, 공중 임무단 순환 근무 종료 등의 과정을 거쳤다. - 2015년 오스트레일리아 - 2015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2015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은 ITF 주관으로 멜버른 파크에서 열린 103번째 그랜드 슬램 대회로, 노바크 조코비치와 세레나 윌리엄스가 남녀 단식 우승을 차지했으며, 7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을 동원했다. - 2015년 AFC 아시안컵 -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은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였으며, 연장 접전 끝에 오스트레일리아가 2-1로 승리하여 AFC로 편입된 후 첫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했다. - 2015년 AFC 아시안컵 - 2015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15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는 각 국가별 선수 명단은 각 팀의 감독, 등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 출장 경기 수, 득점, 소속 클럽 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96년 OFC 네이션스컵
1996년 OFC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최로 오스트레일리아가 타히티를 꺾고 우승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솔로몬 제도, 타히티가 본선에 진출했고 크리스 트라야노프스키가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98년 OFC 네이션스컵
1998년 OFC 네이션스컵은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개최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국제 축구 대회로, 멜라네시아컵과 폴리네시아컵 예선을 거친 6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여 뉴질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데미언 모리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15년 AFC 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15 AFC 아시안컵 | |
![]() | |
기본 정보 | |
대회 이름 | AFC 아시안컵 |
연도 | 2015 |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개최 기간 | 1월 9일 – 1월 31일 |
참가 팀 수 | 16 |
연맹 수 | 1 |
개최 도시 수 | 5 |
개최지 수 | 5 |
결과 | |
우승팀 | 오스트레일리아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대한민국 |
3위팀 | 아랍에미리트 |
4위팀 | 이라크 |
대회 통계 | |
총 경기 수 | 32 |
총 득점 수 | 85 |
총 관중 수 | 705705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 선수 | 알리 마브쿠트 (5골) |
최우수 선수 | 마시모 루옹고 |
최우수 골키퍼 | 매슈 라이언 |
페어플레이상 | |
페어플레이상 수상팀 | 오스트레일리아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1 |
다음 대회 | 2019 |
2. 개최국 선정
오스트레일리아는 2015년 AFC 아시안컵 유치를 단독으로 신청하였다. 2011년 1월 5일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오스트레일리아를 2015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5][6]
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 2011년 AFC 아시안컵 상위 3개 팀(일본,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팔레스타인)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팀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88][9] 20개국이 참가하여 4개 팀씩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1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10]
모하메드 빈 함맘 AFC 회장은 "호주 축구협회(Football Federation Australia)가 자국 내 축구 발전을 위해 기울인 노력과 성과를 고려하고, 호주가 축구 발전을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아시아 축구 연맹(Asian Football Confederation) 집행위원회가 2015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호주를 승인했다는 사실을 기쁘고 영광스럽게 발표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라고 밝혔다.[7]
2011년 대회가 서아시아의 카타르에서 개최됨에 따라, 2015년 대회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개최하기로 사전에 결정되었다. 그중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축구협회가 개최 의사를 밝혔다.[62] 개최에 따라 2014-15 시즌 A리그는 대회 기간 중 3주간 중단되었다.[63]
3. 예선
2011년 대회가 서아시아의 카타르에서 개최됨에 따라, 2015년 대회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되었고, 오스트레일리아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62]
3. 1. 본선 진출국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총 16개국이 진출했다. 이 중 14개국은 2011년 AFC 아시안컵에도 참가했던 팀들이다. 오만은 2007년 AFC 아시안컵 이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인 팔레스타인은 이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다.[72][73] 반면, 2011년 대회 참가국 중 인도와 시리아는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하면,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과 남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은 모두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팀 | 진출 방식 | 진출일 | 결승전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최고 성적 |
---|---|---|---|---|---|
오스트레일리아 | 개최국 | 2011년 1월 5일 | 3회 | 2011년 | 준우승 (2011년) |
일본 | 2011년 AFC 아시안컵 우승 | 2011년 1월 25일 | 8회 | 2011년 | 우승 (1992년, 2000년, 2004년, 2011년) |
대한민국 | 2011년 AFC 아시안컵 3위 | 2011년 1월 28일 | 13회 | 2011년 | 우승 (1956년, 1960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 | 2012년 3월 19일 | 4회 | 2011년 | 4위 (1980년) |
바레인 | D조 우승 | 2013년 11월 15일 | 5회 | 2011년 | 4위 (2004년) |
아랍에미리트 | E조 우승 | 2013년 11월 15일 | 9회 | 2011년 | 준우승 (1996년) |
사우디아라비아 | C조 우승 | 2013년 11월 15일 | 9회 | 2011년 | 우승 (1984년, 1988년, 1996년) |
오만 | A조 우승 | 2013년 11월 19일 | 3회 | 2007년 | 조별리그 (2004년, 2007년) |
우즈베키스탄 | E조 준우승 | 2013년 11월 19일 | 6회 | 2011년 | 4위 (2011년) |
카타르 | D조 준우승 | 2013년 11월 19일 | 9회 | 2011년 | 8강 (2000년, 2011년) |
이란 | B조 우승 | 2013년 11월 19일 | 13회 | 2011년 | 우승 (1968년, 1972년, 1976년) |
쿠웨이트 | B조 준우승 | 2013년 11월 19일 | 10회 | 2011년 | 우승 (1980년) |
요르단 | A조 준우승 | 2014년 2월 4일 | 3회 | 2011년 | 8강 (2004년, 2011년) |
이라크 | C조 준우승 | 2014년 3월 5일 | 8회 | 2011년 | 우승 (2007년) |
중국 | 3위 팀 중 최고 성적 팀 | 2014년 3월 5일 | 11회 | 2011년 | 준우승 (1984년, 2004년) |
팔레스타인 |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 | 2014년 5월 30일 | 1회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본선 진출 자격은 전 대회 3위까지의 팀, 2012년 AFC 챌린지컵과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동일 팀인 경우 2014년 대회 준우승팀), 그리고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에게 주어졌다.[72][73] 이들과 예선을 통과한 팀들을 합쳐 총 16개 팀이 본 대회에 참가했다.
4. 경기장
2015년 AFC 아시안컵은 오스트레일리아의 5개 도시(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캔버라, 뉴캐슬)에서 개최되었다. 사용된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14]
브리즈번 | 캔버라 | 시드니 |
---|---|---|
브리즈번 스타디움 | 캔버라 스타디움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
수용인원: 52,500명 | 수용인원: 25,011명 | 수용인원: 84,000명 |
![]() | ||
멜버른 | 뉴캐슬 |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 뉴캐슬 스타디움 | |
수용인원: 30,050명 | 수용인원: 33,000명[15] | |
![]() |
개최 도시는 온난습윤기후에 속하며, 열대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일부 포함된다.
1월 기후 데이터 | |||||
---|---|---|---|---|---|
도시 | 브리즈번 | 캔버라 | 멜버른 | 뉴캐슬 | 시드니 |
평균 최고 기온 °C (°F) | 30.3°C | 28°C | 25.9°C | 25.6°C | 25.9°C |
평균 최저 기온 °C (°F) | 21.3°C | 13.2°C | 14.3°C | 19.2°C | 18.7°C |
출처: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67][68][69][70][71] |
5. 조 추첨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14년 3월 26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진행되었다.[11] 참가한 16개 팀은 2014년 3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 배정을 받아 네 개의 포트로 나뉘었다.[12]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는 1번 포트에 자동 배정되어 A조에 편성되었다.[13]
1포트 | 2포트 | 3포트 | 4포트 |
---|---|---|---|
오스트레일리아 (63) (개최국) 이란 (42) 일본 (48) 우즈베키스탄 (55) | 대한민국 (60) 아랍에미리트 (61) 요르단 (66) 사우디아라비아 (75) | 오만 (81) 중국 (98) 카타르 (101) 이라크 (103) | 바레인 (106) 쿠웨이트 (1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3) 팔레스타인 (167) |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인 팔레스타인은 조 추첨 당시에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4포트에 배정되었다.[13]
6. 조별 리그
2015년 AFC 아시안컵 조별 리그는 2015년 1월 9일부터 1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조 2위까지 8강에 진출했으며, 모든 경기에서 승패가 결정되어 무승부가 없었다.[25][26][27] 이는 1930년 FIFA 월드컵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조별 리그 순위는 승점(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으로 결정되며,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을 순서대로 적용한다.[24]
# 해당 팀 간 경기 승점
# 해당 팀 간 경기 골득실차
# 해당 팀 간 경기 다득점
# 전체 경기 골득실차
# 전체 경기 다득점
# 승부차기 (두 팀이 동률이고, 같은 경기장에 있을 경우)
# 경고 및 퇴장 카드 수 (경고 1점, 경고 2회로 인한 퇴장 3점, 즉시 퇴장 3점, 경고 후 즉시 퇴장 4점)
# 추첨
조 추첨은 2014년 3월 26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진행되었다.[75]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는 1번 포트에 배정되었고, 나머지 국가들은 2014년 3월 기준 FIFA 랭킹을 기준으로 결정되었다.[76]
6. 1. A조
2015년 AFC 아시안컵 A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 무실점으로 조 1위를 기록하였다.[78]- 대한민국은 조영철, 남태희, 이정협의 골로 3연승을 거두며 A조 1위를 차지했다. 오만과의 경기에서는 김주영이 카심의 진로를 방해해 넘어졌으나 페널티킥이 선언되지 않아 논란이 있었다. 이에 오만 감독 폴 르 꿰엔은 “100% 페널티킥”이라고 주장했다.[83][84]
- 쿠웨이트는 파델이 한 골을 넣었지만 3전 전패로 대회를 마쳤다.
- 오만은 알무크발리의 골로 쿠웨이트를 꺾고 1승을 거뒀으나,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 패하며 조 3위에 그쳤다.

6. 2. B조
B조에서는 중국과 우즈베키스탄이 8강에 진출했다. 중국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기록했다.[75][76] 조 추첨은 2014년 3월 26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서 진행되었다.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는 1번 포트에 배정되었고, 나머지 국가들은 2014년 3월 기준 FIFA 랭킹을 바탕으로 결정되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중국 | 3 | 3 | 0 | 0 | 5 | 2 | +3 | 9 |
우즈베키스탄 | 3 | 2 | 0 | 1 | 5 | 3 | +2 | 6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0 | 2 | 5 | 5 | 0 | 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0 | 3 | 2 | 7 | -5 | 0 |
- 1차전
2015년 1월 10일 | 우즈베키스탄 | 1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시드니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 12,078명 |
---|---|---|---|---|---|---|
2015년 1월 10일 | 사우디아라비아 | 0 : 1 | 중국 | 브리즈번 | 브리즈번 스타디움 | 12,557명 |
- 2차전
2015년 1월 1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4 | 사우디아라비아 | 멜버른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 12,349명 |
---|---|---|---|---|---|---|
2015년 1월 14일 | 중국 | 2 : 1 | 우즈베키스탄 | 브리즈번 | 브리즈번 스타디움 | 13,674명 |
- 3차전
2015년 1월 18일 | 우즈베키스탄 | 3 : 1 | 사우디아라비아 | 멜버른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 10,871명 |
---|---|---|---|---|---|---|
2015년 1월 18일 | 중국 | 2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캔버라 | 캔버라 스타디움 | 18,457명 |
6. 3. C조
- 1차전
- * 2015년 1월 11일, 아랍에미리트는 캔버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카타르와의 경기에서 4-1로 승리했다.[21] 아흐메드 칼릴이 2골, 알리 맙쿠트가 2골을 넣었고, 카타르는 칼판 이브라힘이 1골을 넣었다.
- * 같은 날 이란은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에서 바레인을 2-0으로 꺾었다.[21] 에흐산 하지사피와 마수드 쇼자에이가 골을 기록했다.
- 2차전
- * 2015년 1월 15일, 바레인은 캔버라 스타디움에서 아랍에미리트에게 1-2로 패했다.[21] 바레인은 제이시 존 오쿤와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맙쿠트와 바레인 모하메드 하산의 자책골로 역전패했다.
- * 같은 날 이란은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카타르를 1-0으로 꺾었다.[21] 사르다르 아즈문이 결승골을 넣었다.
- 3차전
- * 2015년 1월 19일, 이란은 브리즈번 스타디움에서 아랍에미리트를 1-0으로 이겼다.[21] 레자 구차네자드가 후반 추가 시간에 결승골을 넣었다.
- * 같은 날 카타르는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바레인에게 1-2로 졌다.[21] 카타르는 하산 알하이도스가 골을 넣었지만, 바레인은 사예드 지야 슈바르와 사예드 아흐메드 자파가 득점하여 승리했다.

최종 결과, 이란과 아랍에미리트가 8강에 진출했다. 이란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아랍에미리트는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했다. 바레인은 1승 2패로 3위, 카타르는 3패로 4위를 기록했다.
6. 4. D조
D조에서는 '''일본'''과 '''이라크'''가 8강에 진출했다.일본 4 – 0 팔레스타인 (2015년 1월 12일, 뉴캐슬)[22] |
요르단 0 – 1 이라크 (2015년 1월 12일, 브리즈번)[22] |
팔레스타인 1 – 5 요르단 (2015년 1월 16일, 멜버른)[22] |
이라크 0 – 1 일본 (2015년 1월 16일, 브리즈번)[22] |
일본 2 – 0 요르단 (2015년 1월 20일, 멜버른)[22] |
이라크 2 – 0 팔레스타인 (2015년 1월 20일, 캔버라)[22] |
7. 결선 토너먼트
2015년 AFC 아시안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으며, 경기 결과에 따라 연장전 및 승부차기가 도입되었다.[24]
토너먼트의 모든 경기는 90분 경기 후 동점일 경우 15분씩 두 차례의 연장전이 진행되며, 연장전 후에도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승부를 가린다.[24]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1월 22일 멜버른 | 대한민국 | 2 - 0 | 우즈베키스탄 | 연장 |
1월 23일 캔버라 | 이란 | 3 - 3 | 이라크 | 연장, 승부차기 (6 - 7) |
1월 22일 브리즈번 | 중국 | 0 - 2 | 오스트레일리아 | |
1월 23일 시드니 | 일본 | 1 - 1 | 아랍에미리트 | 연장, 승부차기 (4 - 5) |
1월 26일 시드니 | 대한민국 | 2 - 0 | 이라크 | |
1월 27일 뉴캐슬 | 오스트레일리아 | 2 - 0 | 아랍에미리트 | |
1월 31일 시드니 | 대한민국 | 1 - 2 | 오스트레일리아 | 연장 |
1월 30일 뉴캐슬 | 이라크 | 2 - 3 | 아랍에미리트 |
7. 1. 8강전
2015년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2015년 1월 22일부터 1월 23일까지 8강전이 진행되었다.
- 대한민국은 멜버른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손흥민의 연속골로 연장전 끝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아시안컵 4강 최다 진출 기록(10회)을 달성하였다.[24]
- 이란은 캔버라에서 열린 이라크와의 경기에서 연장전까지 3-3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6-7로 패배하였다. 이란은 전반전에 선수 한 명이 퇴장당해 수적 열세 속에서 경기를 치렀다.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 선수 |
---|---|---|---|---|
2015년 1월 22일 18:30 (UTC+11) | 대한민국 | 2-0 (연장) | 우즈베키스탄 | 손흥민 (대한민국) |
2015년 1월 22일 20:30 (UTC+10) | 중국 | 0-2 | 오스트레일리아 | 케이힐 (오스트레일리아) |
2015년 1월 23일 17:30 (UTC+11) | 이란 | 3-3 (연장) (승부차기 6-7) | 이라크 | 아즈문, 푸랄리간지, 구찬네자드 (이란) 야신, 마흐무드, 이스마일 (이라크) |
2015년 1월 23일 20:30 (UTC+11) | 일본 | 1-1 (연장) (승부차기 4-5) | 아랍에미리트 | 시바사키 (일본) 막부트 (아랍에미리트) |
7. 2. 준결승전
2015년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의 준결승전은 2015년 1월 26일과 27일에 각각 열렸다.[24]1월 26일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이라크의 경기에서는 이정협과 김영권의 연속골로 대한민국이 2-0으로 승리하며 1988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1월 27일 뉴캐슬의 뉴캐슬 스타디움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UAE의 경기에서는 세인스버리와 데이비슨의 골로 오스트레일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이로써 오스트레일리아는 아시아축구연맹 가입 이후 3번의 아시안컵 출전 중 두 번째로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
7. 3. 3·4위전
2015년 1월 30일 뉴캐슬의 뉴캐슬 스타디움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이라크를 3-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24] 아랍에미리트의 칼릴은 전반 16분과 후반 6분에 각각 득점을 기록했고, 맙쿠트는 후반 12분에 페널티킥으로 추가 득점을 올렸다. 이라크는 살렘과 카라프가 각각 전반 28분과 42분에 득점했지만, 결국 아랍에미리트에게 승리를 내주었다. 이 경기는 양 팀 모두 AFC 아시안컵 3·4위전에 두 번째로 출전한 경기였다. 이라크는 1976년 대회에서, 아랍에미리트는 1992년 대회에서 3·4위전을 치른 바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번 승리로 사상 처음으로 AFC 아시안컵 3위를 차지하게 되었다.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3 | 아랍에미리트 | 3 | 1 | 1 | 0 | 0 | 3 | 2 | +1 |
4 | 이라크 | 0 | 1 | 0 | 0 | 1 | 2 | 3 | -1 |
7. 4. 결승전
2015년 1월 31일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대한민국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4] 오스트레일리아는 AFC 가입 후 첫 아시안컵 우승이었다.전반 45분 루옹고의 선제골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앞서갔으나, 후반 추가시간 손흥민이 극적인 동점골을 터뜨리며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갔다.[79] 연장 전반 15분 트로이시의 결승골로 오스트레일리아가 다시 리드를 잡았고, 결국 2-1로 승리했다.
경기 최우수 선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트렌트 세인스베리가 선정되었다.[79]
8. 우승국
오스트레일리아는 2015년 1월 31일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에서 열린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에서 한국을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79] 루옹고와 트로이시가 득점하였고, 한국은 손흥민이 득점하였다.[79]
9. 수상
9. 1. 드림팀
골키퍼 | 수비수 | 미드필더 | 공격수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10. 최종 순위
11. 득점 선수
wikitext
2015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총 57명의 선수가 85골을 넣었으며, 그 중 2골은 자책골이었다.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맙쿠트가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선수 | 국가 | 득점 |
---|---|---|
알리 맙쿠트 | 5 | |
함자 알다르두르 | 4 | |
아흐메드 칼릴 | 4 | |
손흥민 | 3 | |
팀 케이힐 | 3 | |
혼다 게이스케 | 3 | |
쑨커 | 3 | |
모하메드 알살라위 | 3 | |
사르도르 라시도프 | 2 | |
이정협 | 2 | |
사르다르 아즈문 | 2 | |
레자 구차네자드 | 2 | |
아흐메드 야신 가니 | 2 | |
유니스 마무드 | 2 | |
마시모 루옹고 | 2 | |
제임스 트로이시 | 2 | |
후세인 파델 | 1 | |
밀레 예디나크 | 1 | |
맷 매케이 | 1 | |
로비 크루즈 | 1 | |
마크 밀리건 | 1 | |
토미 유리치 | 1 | |
트렌트 세인스버리 | 1 | |
제이슨 데이비드슨 | 1 | |
조영철 | 1 | |
남태희 | 1 | |
김영권 | 1 | |
이고리 세르게예프 | 1 | |
오딜 아흐메도프 | 1 | |
보키드 쇼디에프 | 1 | |
위하이 | 1 | |
우시 | 1 | |
칼판 이브라힘 | 1 | |
하산 알하이도스 | 1 | |
에흐산 하지사피 | 1 | |
마수드 쇼자에이 | 1 | |
모르테자 푸랄리간지 | 1 | |
엔도 야스히토 | 1 | |
오카자키 신지 | 1 | |
요시다 마야 | 1 | |
가가와 신지 | 1 | |
시바사키 가쿠 | 1 | |
야세르 카심 | 1 | |
두르감 이스마일 | 1 | |
왈리드 살렘 알라미 | 1 | |
암자드 칼라프 | 1 | |
량용기 | 1 | |
나이프 하자지 | 1 | |
나와프 알아비드 | 1 | |
제이시 존 오쿤와네 | 1 | |
사예드 지야 슈바르 | 1 | |
사예드 아흐메드 자파 | 1 | |
유세프 알라와시데 | 1 | |
자카 히바이샤 | 1 | |
압둘 아지즈 알무크발리 | 1 |
; 자책골
- 모하메드 하산 (아랍에미리트 전)
- 가오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
12. 기타 기록
- 조별 예선 4개 조 모두 무승부 경기가 나오지 않았다. 모든 대회를 통틀어 조별 예선에서 무승부 경기가 나오지 않은 대회는 1930년 FIFA 월드컵 이후 85년 만이다.[34]
- 이번 아시안컵은 2004년 시작된 16개국 체제의 마지막 대회이다.
- 중국은 조별 리그를 3전 전승으로 통과하였다.
-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 3경기를 모두 1대0으로 승리하였고, 8강, 4강에서도 모두 승리하여 1988년 AFC 아시안컵 이후 27년 만에 준우승을 차지하였다.[8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번 대회 중국과의 경기에서 전반 시작 불과 47초 만에 골을 내주었다.
-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번 대회 개최국이자 통산 3번째 아시안컵 출전이며,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에서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소속을 옮긴 뒤 처음 출전한 2007년 AFC 아시안컵 이후 3번째 출전 만에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36]
-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맙쿠트는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불과 15초 만에 선제골을 넣어 AFC 아시안컵 역대 최단 시간 골을 기록하였다.[35]
- 팔레스타인은 AFC 아시안컵에서 처음으로 골을 넣었다.
-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로 통산 4번째 결승 진출을 달성하였다.[89]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AFC 아시안컵 축구에서 연속 두 번이나 진출하였다. 1980년 AFC 아시안컵 때부터 동반 진출한 뒤 31년 만에 다시 동반 진출하였고, 이번에도 세 번째 동반 진출하였다. FIFA 월드컵, FIFA U-20 월드컵, 2014년 아시안 게임까지 포함하면 총 여섯 번 연속 동반 진출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번 대회에서 사상 최초로 골 포인트를 두 번 기록하였다.
- 팀 케이힐과 마크 브레시아노는 2004년 OFC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한 경험이 있어 두 개의 다른 대륙 연맹에서 우승한 최초의 남자 선수가 되었다.[37]
13. 논란
B조 사우디아라비아전
B조 중국전[30]
예선 인도네시아전
예선 이라크전
B조 우즈베키스탄전
D조 일본전
A조 대한민국전
C조 이란전
8강 이란전